마포구젤라또3 직냉식 냉동과와 간냉식 냉동고에 따른 젤라또 관리 젤라또 매장을 운영하면서 직냉식 냉동고와 간냉식 냉동고를 모두 사용해 볼 수 있었다. 냉동고에 따라 장단점이 다르고 두 종류를 사용하면서 느꼈던 점과 젤라또 매장에서 이러한 냉동고를 사용하여 어떻게 서비스를 하고 관리를 하는지 정리해 보고자 한다. 강서구에서 첫 창업시 기존 주인분이 사용하던 직냉식 냉동고를 이어받아 사용하였다. 직냉식 냉동고를 사용했을 때의 가장 큰 단점은 성애가 너무 자주 낀다는 점이었다. 적어도 한달에 한번은 성에를 제거해야 했는데 처음에는 한달에 한번쯤이야라고 생각했지만 성에 작업이 생각보다 꽤나 힘든 작업이었다. 일의 효율성도 많이 떨어졌다. 팬이 돌면 공기를 통해 냉각을 하는 간냉식과 달리 직냉식은 냉동고 벽면에서 냉각을 하기에 벽면에 성에가 자주 끼면서 주기적인 성에 제거 작.. 2024. 2. 26. 젤라또 창업시 인테리어 과정 및 비용 정리 전기 공사가 다 마무리 되고 이제 본격적으로 인테리어 작업에 들어갔다. 이 곳은 카페였기에 기본적으로 벽과 바닥타일 시공은 되어있었다. 그래서 따로 바닥 타일 공사는 하지 않고 그대로 살려서 가기로 결정했다. 가장 먼저 한 일은 3D 도면을 짜고 놓아야 할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임시로 바닥에 표시를 해두는 작업을 했다. 종이 테이프로 냉장고, 냉동고, 제조기, 급냉 등이 들어갈 자리를 구역으로 표시해놓고 가벽이 들어갈 위치에 테이프로 표시를 해서 실제로 공간이 얼만큼 나오는지 가늠해 보는 작업을 했다. 공간이 협소하지만 홀이 1/3 , 주방이 2/3 로 주방쪽 공간을 더 크게 가져갔다. 젤라또 매장은 홀의 비중을 크게 가져갈 필요가 없을 것 같았고 테이크아웃 위주로 홀을 운영하되 4개정도의 좌석만 두고 .. 2023. 12. 28. 젤라또가 들어갈만한 상권찾기 새로운 장소로 이전을 결정하고 나서 6호선 라인으로 상권을 돌아다녀 보았다. 공덕 마포역 근처 , 삼각지 남영역 근처 , 신당 약수역 근처, 합정 상수역 근처 총 4군데 지역이 리트스에 있었다. 이 4군데 중 사실 공덕 마포역 상권이 가장 좋아 보였다. 주변에 대기업과 회사가 밀집해 있어 오피스 상권이면서도 배후세대가 매우 많은 주거 상권이기도 하다. 또한 호텔들이 많고 경의선 숲길 따라 맛집들이 많이 포진되어 있어 데이트하러 오는 유동 상권이기도 하다. 어떤 업종을 하든 어울릴 수 있는 자리이고 마포구에서 제일 좋아보이는 상권이었다. 때문에 대부분 바닥권리금이 형성되어 있는 곳이다. 최근에 경의선 숲길에 새로 생긴 카페가 1억 넘게 바닥권리금을 주고 들어왔다는 얘기도 들어 이 지역은 불과 1~2년 만에.. 2023. 11. 24. 이전 1 다음